전체 글(20)
-
특수교육
'특수아동'이란 정서적 특성, 감각 특성, 신체운동 및 신체 특성, 사회적 행동이나 의사교환 능력에서 정상아동으로부터 지나치게 이탈되어 있어 그들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 특수교육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아동을 말한다. 1. 지적장애 정신지체는 지적 기능과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기술로서 표현되는 적응행동에서 유의미한 제한성을 가진 장애로 특징지어진다. 이 장애는 18세 이전에 나타난다. 수년간 지적장애는 표준화된 지능검사 점수를 통해 경도(IQ 50~69), 중증도(IQ 35~49), 중도(IQ 20~34), 최중도(IQ 20 미만) 수준으로 세분화되었다. 지적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다운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 페닐케톤뇨증과 같은 신진대사장애, 풍진이나 임신 중 매독과..
2022.08.24 -
창의성
1. 창의성의 중요성 (1) 창의적인 사고는 인성발달과 정신건강 측면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창의적 욕구를 장기간 억압할 겨우 인성의 파멸과 삶의 만족을 없앨 수 있다. (2) 창의적 사고는 정보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궁극적으로 다른 지적 기능만큼 중요한 능력이다. (3) 창의적 사고는 지식을 일상의 개인적, 전문적 문제에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문명의 미래는 다음 세대의 창의적 상상력에 달려있기 때문에 창의적 재능을 확인하고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은 사회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2. 창의성의 개념 (1) 길포드 : 창의적 사고는 지능 구조의 한 부분인 확산적 사고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라 봄. 확산적 사고의 요인은 많은 답을 내는 유창성과 다양한 답은 내는 유연성, 그리고 남들이..
2022.08.22 -
지능(2) 다중지능이론과 Stemburg의 삼원론
3.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모든 학습자는 서로 다른 능력과 흥미, 동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가드너가 주장한 다중지능 이론의 전제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능력 및 동기를 고려한 교수학습법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드너는 '지능'이란 " 문과적으로 가치 있는 물건을 창조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그 문화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정보를 처리하는 생물, 심리학적인 잠재력"이라고 정의하면서, 인간 두뇌의 해부학적인 구조와 개인이 속한 문화의 관점에서 지능을 분석하고 이론화하여 다중지능 이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지능은 말하기와 읽기, 작문, 듣기 영역에 대한 민감성, 언어 학습능력,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언어 활용능력 등을 포함한다. 작가, 시인, 법률가, 교사 등이 ..
2022.08.22 -
지능의 의미와 다요인이론
1. 지능의 의미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영역은 크게 '발달'과 '개인차'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의 '개인차'란 학습자에게서 보이는 다양한 차이를 의미하며, 그에 따라 '개인차 연구'란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다양성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기준을 찾기 위한 연구를 의미한다. 영국의 Francis Falton은 감각 식별 능력이 인간의 지적능력과 관련성이 깊을 것이라는 신념으로 감각 기능의 개인차를 측정하고자 심리 측정실을 개설하였다. 그의 이러한 연구가 곧 지능의 개인차를 규명하기 위한 최초의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지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심리측정적 접근, 피아제식 접근, 정보처리적 접근 중 한 가지를 취하였다. 심리측정적 접근은 지능을 양적으로 측정하는데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지능검사를 통해 개..
2022.08.22 -
셀먼(Selman)의 사회적 조망 수용이론
사회인지란 사회적 관계를 인지하는 것으로 타인의 사고와 의도, 정서를 생각할 수 있는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의미한다.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은 타인과 잘 지낼 수 있는 성숙한 사회적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Selman은 아동이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의 관점을 구별하는 능력과 다른 관점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면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게 된다고 하였다. 사회적 조망 수용능력의 발달단계 (1) 0단계 : 자기중심적 관점 수용 단계(3~6세) 타인을 자기중심적으로 보기 때문에 타인이 자신과 다른 관점(생각, 느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즉, 다른 사람도 자신의 견해와 동일한 견해를 갖는다고 지각한다. (2) 1단계 : 주관적 조망수용 단계(6~8세) 동일한 상황에 대..
2022.08.18 -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에서 성격발달 단계를 최초로 설정하였고, 성격이 생물학적 성숙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에는 원인이 있다고 보는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고, 어떤 행동을 추진하게 되는 동기를 의미하는 본능적 욕구 개념을 제시하였다. 프로이트는 성격발달에서 초기 아동기의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후 아동기에 대한 연구에 많은 자극을 주었다. 프로이트는 성격을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나누는데 이 세 구조는 각기 고유한 기능과 특성, 기제 및 역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행동은 세 구조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며 이들의 균형이 깨질 때 문제가 생긴다. 원초아는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정신에너지의 원..
2022.08.18